728x90
문제
N개의 수로 된 수열 A[1], A[2], …, A[N] 이 있다. 이 수열의 i번째 수부터 j번째 수까지의 합 A[i] + A[i+1] + … + A[j-1] + A[j]가 M이 되는 경우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첫째 줄에 N(1 ≤ N ≤ 10,000), M(1 ≤ M ≤ 300,000,000)이 주어진다. 다음 줄에는 A[1], A[2], …, A[N]이 공백으로 분리되어 주어진다. 각각의 A[x]는 30,000을 넘지 않는 자연수이다.
출력
첫째 줄에 경우의 수를 출력한다.
예제 입력 1
4 2
1 1 1 1
예제 출력 1
3
예제 입력 2
10 5
1 2 3 4 2 5 3 1 1 2
예제 출력 2
3
코드
정답 코드
import sys
input = sys.stdin.readline
N, M = map(int, input().split())
A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start, end = 0, 0
cnt = 0
while start < N and end < N:
if sum(A[start:end + 1]) == M:
cnt += 1
end += 1
elif sum(A[start:end + 1]) < M:
end += 1
else:
start += 1
print(cnt)
- start와 end 값을 0으로 두고
- start와 end가 N보다 작을 때까지 반복문을 돌린다 (A 리스트의 길이 만큼)
- start부터 end까지 수열의 합이 M과 같으면 카운트를 하고 end 값을 1 증가시킨다
- start부터 end까지 수열의 합이 M보다 작으면 end 값을 1 증가시킨다.
- start부터 end까지 수열의 합이 M보다 크면 start 값을 1 증가시킨다.
- 반복문이 끝나고 카운트 횟수를 출력한다
부분 수열의 합을 보고 투 포인터를 사용하였다.
끝!!
[백준 2003번] 을 정리한 내용입니다.
'STUDY > BAEKJO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 3474번] 교수가 된 현우 (0) | 2024.05.02 |
---|---|
[백준 2467번] 용액 (1) | 2024.04.30 |
[백준 2512번] 예산 (0) | 2024.04.29 |
[백준 2805번] 나무 자르기 (0) | 2024.04.29 |
[백준] 1236번 성 지키기 (0) | 2023.07.25 |